맨위로가기

그림 동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그림 동화는 독일 낭만주의 시대에 야코프 그림과 빌헬름 그림 형제가 수집하고 편집하여 출판한 민담 모음집이다. 프랑스 혁명 이후 독일 민족주의가 고양되는 시대적 배경 속에서, 그림 형제는 민중 문화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민담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구전되던 민담을 수집하여, 민중의 이야기투를 충실히 옮기면서도, 아동 독자를 고려하여 내용 수정 및 윤색을 거쳤다. 그림 동화는 초판 발행 이후 여러 차례 증보판을 거치며, 내용의 변화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쳤다. 그림 동화는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널리 읽히며, 민담 수집과 연구에 영향을 미쳤고, 문화와 예술 분야에도 영감을 주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그림 형제 - 야코프 그림
    야코프 그림은 그림 동화 편찬, 독일어 사전 편찬 참여, 그림의 법칙 정립 등 언어학과 문헌학에 큰 업적을 남긴 독일의 학자이자, 법학자, 민속학자, 자유주의 운동가였다.
  • 그림 형제 - 빌헬름 그림
    독일의 언어학자이자 문헌학자, 동화 작가인 빌헬름 그림은 형 야곱 그림과 함께 그림 동화를 편집하여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카셀 도서관 사서, 괴팅겐 대학교 명예교수를 역임하고 독일어 사전 편찬 작업에 참여하는 등 활발한 연구 활동을 펼치며 독일 문화와 정체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 그림 동화 - 신데렐라
    신데렐라는 가혹한 환경의 여성이 신분 상승을 이루는 설화로, 다양한 판본이 존재하며 계모와 의붓자매에게 학대받다 왕자와 결혼하여 행복을 찾는다는 기본 줄거리를 공유하고, 샤를 페로의 《상드리용》은 요정 대모, 호박 마차, 유리 구두 등의 요소를 추가하여 널리 알려졌으며, 다양한 예술 작품으로 재창작되어 사회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로도 사용된다.
  • 그림 동화 - 헨젤과 그레텔
    헨젤과 그레텔은 그림 형제의 민담으로, 가난한 아이들이 숲에서 마녀를 만나 위기를 겪지만 지혜롭게 극복하고 행복하게 된다는 내용이며, 다양한 판본과 각색으로 존재한다.
그림 동화 - [서적]에 관한 문서
개요
그림 형제의 Kinder- und Hausmärchen 초판본 표지 (1812)
그림 형제의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집》 초판본 표지 (1812)
원제Kinder- und Hausmärchen (어린이와 가정을 위한 동화)
저자야코프빌헬름 그림
국가독일
언어독일어
장르동화
민담
출판1812년–1858년
한국어 제목
다른 제목그림 동화
원제 (독일어)Kinder- und Hausmärchen
출판 정보
최초 출판1812년 (제1권), 1815년 (제2권)
출판사 (초기)라이머 서점 (제2판까지)
기타 정보
관련 항목멜히헨

2. 집필 배경

그림 형제인 야코프 그림과 빌헬름 그림은 법학을 공부하던 중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독일 낭만주의 작가인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과 클레멘스 브렌타노를 만나 그들의 영향을 받아 옛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95] 이는 나폴레옹 전쟁 하 독일 내 민족주의 고조와 맞물려 독일 고유 민중 문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던 시대적 배경과도 연관된다.[19][20]

형제는 법관이었던 아버지 필리프 빌헬름 그림이 일찍 세상을 떠난 후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를 겪었으나, 학업에 매진하여 카셀의 리체움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고 마르부르크 대학교에 진학했다.[1] 대학 시절, 법학자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교수의 지도를 받으며 독일 법, 역사, 민속에 대한 깊은 이해를 쌓았는데, 이는 훗날 민담 수집의 중요한 학문적 기반이 되었다.[1]

빌헬름 그림(왼쪽)과 야코프 그림


이러한 학문적 관심과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그림 형제는 독일 민족 문화유산으로서 민담을 수집하고 보존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그들은 카셀 지역을 중심으로 구전되는 이야기를 모았으며, 특히 도로테아 비만(Dorothea Viehmann)과 프랑스계 위그노 후손인 하센플루크(Hassenpflug) 및 빌트(Wild) 가문 여성들로부터 많은 이야기를 수집했다.[95]

처음에는 아르님과 브렌타노의 민담집 발간 계획에 협력했으나[24], 민담의 원형 보존을 중시한 형제와 자유로운 개작을 선호한 브렌타노 사이에 견해 차이가 생겨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었다.[96][25] 그림 형제는 민담을 국민 생활의 직접적인 표현이자 민족 문화의 유산으로 보고 원형을 존중하면서도[96], 이야기로서의 재미를 더하고 아동 독자를 고려하여 교육적, 종교적 내용을 보강하고 잔혹한 묘사를 완화하는 방식으로 편집했다.[96]

1812년,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Kinder- und Hausmärchendeu) 초판 제1권이 출간되자 큰 호응을 얻으며 독일 전역에서 더 많은 민담 자료가 모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힘입어 1815년 제2권을 발간하고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듭하며 내용을 풍부하게 만들었다.[96]

2. 1. 독일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에 의한 독일 점령 시기는 독일 내에서 민족주의적 분위기가 고조되던 때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이전까지 예술가 중심적으로 전개되던 독일 낭만주의 운동은 독일 고유의 민중 문화로 관심을 돌리게 되었다. 그 일환으로 민요민담(메르헨)을 발굴하고 수집하는 작업이 활발히 진행되었다.[19][20] 이러한 흐름은 낭만주의 이전, 슈투름 운트 드랑 운동의 제창자였던 헤르더의 『민요집』(1778년–79년)에서 시작되었으며[21], 그림 형제 이전에도 뮈세우스의 『독일인의 구전 메르헨집』(1782-1786년) 등 여러 민담집이 간행되었다.

1806년, 독일 낭만주의 시인인 아르님과 브렌타노는 민요집 『소년의 마법의 뿔피리』를 간행했다. 이 작업에는 그림 형제의 스승인 사비니의 중재로 야코프 그림도 수집에 협력했다. 이후 아르님과 브렌타노는 민담집 발간을 기획하며 그림 형제에게 민담 수집을 의뢰했다.[24] 그림 형제는 1803년 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아르님과 브렌타노를 만나 옛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카셀에서 구전되던 민담을 수집하기 시작했다.[95]

그림 형제는 민담을 국민 생활의 직접적인 표현이자 민족 문화의 유산으로 여겼으며, 이를 임의로 개작하는 것에 반대했다. 이는 민담에 자유로운 가필을 해도 된다고 생각했던 브렌타노와 의견 차이를 보였고, 결국 그림 형제는 브렌타노와의 협력을 중단하고 독자적으로 동화집을 간행하기로 결정했다.[96][25] 형제는 수집한 이야기를 단순히 옮겨 적는 것을 넘어, 줄거리의 인상을 강조하고 비유나 속담, 유머를 가미하여 생동감을 불어넣으려 노력했다. 또한 독자가 주로 아동임을 고려하여 종교적 색채를 더하고 지나치게 잔혹한 묘사는 피했으며, 약자에 대한 연민과 정의감을 함양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96]

형제는 구전과 문헌 양쪽에서 민담을 수집했으며, 브렌타노에게 보냈던 초기 원고 53편의 사본을 바탕으로 편찬 작업을 진행했다.[25] (브렌타노에게 보낸 원본은 분실되었으나, 훗날 발견되어 초기 형태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26][27]). 이렇게 편찬된 『그림 동화집』 초판 제1권은 1812년에 출간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고, 독일 각지에서 새로운 민담에 대한 정보가 모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힘입어 1815년 제2권을 발간하고,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거듭하며 백설공주, 잠자는 숲 속의 미녀, 라푼젤, 헨젤과 그레텔 등 오늘날까지 널리 알려진 이야기들을 포함하여 총 240편의 민담을 수록하게 되었다.[96]

비록 그림 형제는 동화집 서문 등에서 독일 민중으로부터 직접 수집했음을 강조했지만[55][56], 실제로는 수록된 이야기 중 일부는 문헌 자료에서 가져왔으며[57][58], 주요 구전 정보원 역시 순수한 농민층보다는 프랑스계 위그노 출신을 포함한 교양 있는 도시 중산층 여성이 많았다는 사실이 후대의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62][63] 이는 당시 독일 민족주의적 분위기 속에서 형성된 '순수한 독일 민담'이라는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는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림 형제의 동화집은 독일 민족 문화의 중요한 유산으로 자리매김했으며, 독일 낭만주의와 민족주의 흐름 속에서 탄생한 중요한 결과물로 평가받는다.

2. 2.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과 클레멘스 브렌타노

1803년 그림 형제마르부르크 대학교에서 독일 낭만주의 작가인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과 클레멘스 브렌타노를 만나 그들의 영향으로 옛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95] 당시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 점령 하의 독일에서는 민족주의적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었으며, 독일 낭만주의 운동은 독일 고유의 민중 문화로 관심을 돌리고 있었다.[19][20] 이러한 흐름 속에서 1806년, 브렌타노와 아르님은 독일 민요집 『소년의 마법의 뿔피리』(Des Knaben Wunderhorndeu)를 출간했다. 이 민요집 수집에는 그림 형제의 스승이었던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의 중개로 야코프도 협력했다.[24]

이후 브렌타노는 『소년의 마법의 뿔피리』 속편으로 메르헨(Märchendeu, 동화)집 발간을 기획하며 그림 형제에게 민담 수집을 의뢰했다.[1][25] 이때 브렌타노는 화가 필립 오토 룽게가 방언으로 기록해 둔 「어부와 그의 아내」와 「가시나무 이야기」 두 편을 형제에게 전달했으며, 이는 형제의 메르헨 수집 및 편찬 방향에 영향을 주었다.[24] 그림 형제는 카셀을 중심으로 구전과 문헌 자료를 통해 민담을 수집하여 53편의 원고를 정리해 브렌타노에게 보냈다.[95][25]

그러나 그림 형제는 민담을 민족 문화유산으로 여겨 원형 그대로 보존해야 한다고 생각한 반면, 브렌타노는 민담에 시적 상상력을 가미하는 것이 시인의 권리라고 주장하며 개작을 원했다.[96] 이러한 견해 차이로 인해 그림 형제는 브렌타노와의 협력을 포기하고 독자적으로 동화집을 출간하기로 결정했다.[96] 브렌타노는 그림 형제로부터 받은 원고를 돌려주지 않고 분실했지만, 형제는 미리 복사해 둔 사본을 바탕으로 작업을 계속하여 1812년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Kinder- und Hausmärchendeu, KHM)라는 제목으로 첫 번째 동화집을 출간했다.[25][96] 브렌타노가 분실했던 초기 원고는 훗날 알자스의 에렌베르크 수도원에서 발견되었으며(에렌베르크 원고), 이는 그림 형제가 출간한 판본과 원형을 비교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26][27]

2. 3. 브렌타노와의 협력과 결별

그림 형제마르부르크 대학교 시절 만난 독일 낭만주의 작가 루트비히 아힘 폰 아르님과 클레멘스 브렌타노의 영향을 받아 옛 이야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1806년 아르님과 브렌타노는 민요집 『소년의 마법의 뿔피리』를 간행했는데, 이 작업에는 프리드리히 카를 폰 사비니 교수의 중재로 야코프 그림도 협력했다. 이후 브렌타노는 이 민요집의 속편으로 메르헨집 발간을 기획하며 그림 형제에게 동화 수집을 의뢰했다.[24] 이때 브렌타노는 화가 필리프 오토 룽게가 방언으로 적어 놓은 두 개의 메르헨, 「어부와 그의 아내」와 「가시나무 이야기」를 형제에게 건넸으며, 이는 형제의 메르헨 수집 및 편찬 방향에 영향을 주었다.[24]

형제는 구전과 문헌 두 방향에서 메르헨 수집을 진행하여, 수집한 53편의 원고를 브렌타노에게 보냈다.[25] 그러나 민담에 이야기를 덧붙이는 것을 시인의 권리로 여긴 브렌타노와, 민담을 민족 문화유산으로 보고 원형 보존을 중시한 그림 형제 사이에 의견 차이가 발생했다.[96] 이러한 견해 차이와 더불어 브렌타노로부터 별다른 답신이 없자, 그림 형제는 결국 브렌타노와의 협력을 단념했다.[25][96]

그림 형제는 미리 보관해 둔 사본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동화집 간행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25][96] 이후 브렌타노의 기획은 무산되었고, 그는 그림 형제에게 받은 원고를 돌려주지 않고 분실했다. 이 초기 원고는 19세기 말 알자스의 에렌베르크 수도원에서 발견되었으며(에렌베르크 원고), 오늘날 그림 형제가 수정한 간행본과 원형을 비교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26][27]

3. 구성

그림 형제는 1812년 12월 20일 86편의 이야기가 실린 『어린이와 가정 동화집』 초판을 발행했으며, 1814년에는 70편을 추가한 재판을 내놓았다. 이후 여러 차례 증보판을 거듭하여 1857년에 출간된 최종 제7판에는 총 200편의 동화와 10편의 부록 「어린이의 성자전」이 수록되었다.

초판은 책의 제목과는 달리 학술적 주석이 포함되어 있었고, 내용과 주제 면에서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97][2][29] 이러한 비판을 반영하여 증보판에서는 여러 내용 수정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백설공주와 핸젤과 그레텔에 등장하는 사악한 친어머니는 계모로 바뀌었고,[98][2] 라푼젤 이야기처럼 성적인 내용을 암시하는 부분은 순화되거나 삭제되었다.[98][4]

또한, 『그림 동화집』은 내용이 독일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받았다. 이야기 속 요정(페어리)을 마녀로 변경하고, prince|프린스영어와 princess|프린세스영어를 모두 왕족의 자녀인 왕자와 공주로 설정한 점 등이 그 근거로 제시되었다.[99][100] 한편, 도날드 와드와 같은 민속학자들은 그림 동화 속 이야기와 유사한 민담이 인도, 페르시아, 세르비아, 잉글랜드 등 여러 문화권에서 발견된다는 점을 들어, 이 이야기들이 인도-유럽어족 문화권에 널리 퍼져 있던 공통된 원형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하기도 했다.[101]

그림 형제는 1825년에 동화 50편을 선별하여 수록한 축약본 『그림 동화 명작 선집』(일명 '작은 판')을 출간하여 동화집의 대중화에 기여하기도 했다.

3. 1. 판본별 변화

그림 형제는 1812년 12월 20일, 86편의 이야기가 실린 『어린이와 가정 동화집』 초판 제1권을 출간했다.[28] 이 초판에는 각 동화에 학문적인 주석을 단 부록이 함께 실렸으나, 어린이용 책과 학문적 자료 사이의 어중간한 구성은 비판을 받았다.[29] 제1권의 판매는 부진했고, 1815년에 70편을 추가하여 출간한 제2권은 더욱 판매가 저조하여 계획했던 제3권은 결국 출간되지 못했다.

초판은 책의 제목과 달리 내용과 주제가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97][2] 예를 들어, 백설공주와 핸젤과 그레텔에 등장하는 사악한 친어머니 설정이나 라푼젤 이야기 속 성적인 암시 등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비판을 수용하여 이후 판본에서는 내용 수정이 이루어졌다. 백설공주와 핸젤과 그레텔의 친어머니는 계모로 바뀌었고,[98][2] 라푼젤이 자신의 임신 사실을 순진하게 드러내는 장면 등 성적인 암시는 삭제되었다.[4] 잭 지프스는 그림 형제가 '모성을 신성하게 여겼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주었다고 분석한다.[3] 하지만 악당을 처벌하는 장면 등 일부 내용에서는 폭력성이 오히려 강화되기도 했다.[4]

또한, 내용이 독일적이지 않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이야기 속 요정(페어리)을 마녀로 바꾸고, prince|프린스영어와 princess|프린세스영어를 왕족의 자녀인 왕자와 공주로 일괄 설정한 점 등이 그 예이다.[99][100] 한편, 민속학자 도날드 와드 등은 그림 동화 속 이야기와 유사한 민담이 인도, 페르시아, 세르비아, 잉글랜드 등 여러 지역에서 발견된다는 점을 근거로, 이 이야기들이 인도-유럽어족 문화권에 널리 퍼져 있던 공통된 이야기 원형에서 파생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101]

1819년 출간된 제2판에서는 동생 루트비히 그림의 동판화 삽화가 추가되고 주석이 별책으로 분리되는 등 좀 더 독자 친화적으로 개선되었다.[30] 1823년에는 에드거 테일러가 번역하고 조지 크루크생크가 삽화를 그린 영어판 선집 『독일 민중 동화집』이 큰 성공을 거두었다.[31] 이에 영향을 받아 그림 형제는 1825년에 어린이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동화 50편을 선별하고 루트비히의 삽화를 더한 염가 보급판 『그림 동화 명작 선집』(일명 '작은 판')을 출간했다. 이 '작은 판'은 원래의 2권 본보다 훨씬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며 그림 동화의 대중화에 크게 기여했다.[32]

본격적인 성공은 1837년 괴팅겐의 디테리히스 출판사로 옮겨 출간한 제3판부터 시작되었다.[34] 이후 동화집은 그림 형제가 생존하는 동안 계속 개정되어 이야기가 추가되거나 교체되었고, 1857년의 최종 제7판에는 총 200편의 동화와 10편의 부록 「어린이의 성자전」이 수록되었다. 일부 후기 판본에는 필리프 그로트 요한과 로베르트 라인베버의 삽화가 포함되기도 했다.

판본별 수록 이야기 편수는 다음과 같이 변화했다.

판본연도제1권제2권부록 (어린이의 성자전)총 편수 (부록 제외)
초판1812년-1815년86편70편-156편
제2판1819년86편75편9편161편
제3판1837년86편82편9편168편
제4판1840년86편92편9편178편
제5판1843년86편98편9편184편
제6판1850년86편114편10편200편
제7판1857년86편114편10편200편


3. 2. 내용 수정 및 윤색

1812년 초판 발행 이후, 『그림 동화집』은 내용과 주제가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비판에 직면했다.[97][2][29] 또한, 어린이용 동화와 학술 자료가 혼재된 어중간한 구성 역시 비판의 대상이었다.[29] 이러한 지적을 수용하여 이후 증보판에서는 상당한 내용 수정과 윤색 작업이 이루어졌다.

주요 수정 방향은 어린이 독자를 고려한 윤색이었다. 예를 들어, 초판의 백설공주와 헨젤과 그레텔 이야기에 등장하는 사악한 친어머니는 이후 판본에서 계모로 변경되었다.[98][3] 이는 당시 구매자였던 어머니들을 배려하고 '모성은 신성하다'는 사회적 통념을 반영한 결과로 해석된다.[3][43] 또한, 라푼젤 이야기에서 라푼젤이 자신의 임신 사실을 순진하게 드러내는 장면과 같은 성적인 암시는 삭제되거나 순화되었으며,[98][4][40][41] 근친상간을 암시하는 묘사 역시 수정되었다.[42]

이러한 수정 작업은 주로 동생 빌헬름 그림이 주도했다. 빌헬름은 당시 도시 부유 시민(독일어: Bürger)의 도덕관에 맞춰 내용을 다듬었으며[39], 동화집에 학문적 성격을 부여하고자 했던 형 야코프 그림은 점차 개정 작업에서 거리를 두게 되었다.[38]

하지만 모든 내용이 순화된 것은 아니다. 성적인 묘사는 엄격하게 배제된 반면, 악당을 처벌하는 장면 등 잔혹한 묘사에 대해서는 오히려 관대하여, 일부 이야기에서는 후기 판본에서 폭력성이 더 강화되기도 했다.[4] 예를 들어 신데렐라 이야기의 결말에서 계모 자매들이 비둘기에게 눈을 쪼여 실명하는 복수 장면은 초판에는 없었으나 후기 판본에 추가된 내용이다.[44][45] 이러한 잔혹성 때문에 『그림 동화집』이 어린이에게 그대로 읽어주기에 적합한지에 대한 논란은 초판 간행 이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47][48]

내용 수정 과정에서 이야기 속 여성 인물의 주체성이 약화되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미국의 일부 학자들은 그림 형제가 후기 판본에서 여성 인물의 직접적인 대사를 줄이는 등 수정을 통해 소녀들의 적극성이나 능동성을 약화시켰다고 지적한다.[49][50] 당시 사회의 가부장적 시각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반면, 최근 일본의 연구에서는 이러한 수정에도 불구하고 신데렐라와 같은 이야기에서 근대 이전의 적극적인 여성상이 여전히 남아있다고 보기도 한다.[51] 이 외에도 인종차별적인 편견이 보인다는 지적도 있으나[52], 이는 그림 형제가 의도적으로 삽입했다기보다는 당시 사회에 존재했던 편견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한편, 그림 동화가 독일적이지 않다는 비판에 따라 일부 설정이 변경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이야기 속 페어리마녀로 바뀌었고, prince|프린스영어와 princess|프린세스영어는 모두 왕의 아들(왕자)과 딸(공주)로 통일되었다.[99][100]

『그림 동화집』은 여러 차례 증보판을 거치며 수록된 이야기의 수가 변화했다.

판본별 수록 이야기 수 변화
판본 (연도)총 수록 편수 (제1권 + 제2권)부록
초판 (1812년-1815년)156편 (86편 + 70편)-
제2판 (1819년)161편 (86편 + 75편)어린이의 성자전 9편
제3판 (1837년)168편 (86편 + 82편)어린이의 성자전 9편
제4판 (1840년)178편 (86편 + 92편)어린이의 성자전 9편
제5판 (1843년)194편 (86편 + 98편)어린이의 성자전 9편
제6판 (1850년)200편 (86편 + 114편)어린이의 성자전 10편
제7판 (1857년)200편 (86편 + 114편)어린이의 성자전 10편



이러한 수정과정을 거치며 『그림 동화집』은 초기 구전 설화의 형태에서 벗어나 문학적인 성격을 강화하며 오늘날 우리가 아는 모습으로 점차 변모해갔다.[37]

3. 3. 언어 및 문체

『그림 동화집』은 이전의 메르헨집들이 이야기를 크게 각색하여 긴 작품으로 만든 것과 달리, 비교적 구전의 형태를 유지하며 짧게 이야기를 담아냈다는 특징이 있다.[35] 하지만 실제로는 초판 단계에서부터 상당한 가필과 수정이 이루어졌다는 지적도 있다.[36] 초판은 문장이 다듬어지지 않았고, 이야기 내용이나 표현이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으며, 너무 꾸밈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러한 비판에 따라 이후 판본에서는 개선 작업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풍경 묘사나 심리 묘사, 등장인물의 대화가 늘어났고, 지나치게 잔혹한 묘사나 성적인 내용은 삭제되거나 순화되었다. 일부 작품은 목록에서 제외되기도 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그림 동화집』은 서민들이 구전으로 전하던 '전해져 내려온 메르헨'에서 도시 시민들이 읽는 '읽는 메르헨'으로 성격이 변화했다.[37] 초기 이야기 수집은 주로 야코프 그림이 중심 역할을 했지만, 후기 판본의 개정 작업은 주로 동생 빌헬름 그림이 맡았다. 메르헨집에 학문적 성격을 부여하고자 했던 야코프는 점차 이 작업에서 손을 떼게 되었다.[38]

빌헬름은 개정 과정에서 당시 메르헨집의 주된 구매층이었던 도시 부유 시민(Bürger|뷔르거de)의 도덕 관념을 의식하여 내용을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39] 특히 임신과 같이 성적인 내용을 암시하는 묘사는 상당히 민감하게 받아들여 배제했으며,[40][41] 근친상간과 관련된 묘사 역시 삭제하거나 수정했다.[42] 또한 "헨젤과 그레텔", "백설 공주"처럼 아이를 학대하는 친어머니가 등장하는 이야기는, 책을 구매하는 어머니 독자들을 고려하여 후기 판본에서 계모로 바뀐 경우가 많다.[43]

하지만 이러한 수정에 비해, 빌헬름은 형벌 장면 등 잔혹한 묘사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대한 태도를 보였다. 예를 들어 "신데렐라" 이야기 마지막에 계모 자매들의 눈을 비둘기에게 쪼아 멀게 만드는 복수 장면은 초판에는 없었으나 후대에 추가된 내용이다.[44] 이야기에 따라서는 오히려 후기 판본에서 잔혹성이 더 강화된 경우도 있다.[45] 이는 당시 비평가들도 성적인 내용의 적절성은 문제 삼았지만, 형벌 장면의 잔혹성에 대해서는 크게 문제 삼지 않았던 시대적 배경과도 관련이 있다.[47] 이 때문에 『그림 동화집』이 어린이에게 읽어주기에 적합한지, 원본 그대로 읽어주는 것이 괜찮은지에 대한 논란은 초판 간행 이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48]

한편, 미국의 일부 학자들은 개정 과정에서 이야기 속 소녀들의 적극성이나 능동성이 약화되었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소녀나 여성 등장인물의 대사를 직접 화법에서 간접 화법으로 바꾸는 경향이 있었다는 분석이 있다.[49][50] 반면, 최근 일본의 연구에서는 그림 형제가 이야기를 다듬는 과정에서도 "신데렐라"와 같이 근대 이전(근세·중세)의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여성상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었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한다.[51] 이 외에도 인종차별적인 편견이 나타나는 부분이 지적되기도 하지만,[52] 이는 그림 형제가 의도적으로 삽입했다기보다는 당시 사람들의 보편적인 편견이 이야기에 반영된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4. 다양한 취재원



『그림 동화집』은 프랑스 혁명 이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독일을 점령했던 시기에 탄생했다. 당시 독일 내에서는 민족주의 의식이 높아지고 있었고,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독일 낭만주의 운동은 이전의 예술가 중심 경향에서 벗어나 토착 민중 문화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 일환으로 민요메르헨을 발굴하고 수집하는 작업이 활발해졌다.[19][20]

이러한 민담 수집 흐름은 슈투름 운트 드랑 운동의 제창자였던 헤르더의 『민요집』(1778년–79년)에서 시작되었다.[21] 그림 형제 이전에도 뮈세우스의 『독일인의 구전 메르헨집』(1782-1786년), 나우베르트의 『독일인의 새로운 구전 메르헨집』(1789-1792년), 뷔싱의 『민간 전설, 메르헨, 성자 전설』(1812년) 등 여러 메르헨집이 출간되었다. 1808년에는 그림 형제와 성은 같지만 혈연관계는 없는 알베르트 루드비히 그림의 『어린이 동화집』도 출간되었는데, 당시에는 이 책도 많이 팔려 그림 형제의 동화집과 혼동되기도 했다.[22] 그림 형제와 A.L. 그림은 서로 경쟁 의식을 가지고 각자의 동화집 서문에서 상대를 비판하기도 했다.[23]

1806년, 낭만파 시인 브렌타노아르님은 민요집 『소년의 마법의 뿔피리』를 간행했다. 이 작업에는 은사 사비니의 중재로 야코프 그림도 참여했다. 이후 브렌타노는 이 민요집의 속편으로 메르헨집을 기획하며 그림 형제에게 메르헨 수집을 의뢰했다. 이때 형제는 브렌타노로부터 화가 필립 오토 룽게가 방언으로 기록한 「어부와 그의 아내」와 「가시나무 이야기」 두 편의 메르헨을 전달받았는데, 이는 형제의 메르헨 수집 및 편찬 방향에 영향을 주었다.[24]

그림 형제는 구전과 문헌 양쪽에서 메르헨을 수집하여 53편의 성과를 브렌타노에게 보냈다. 하지만 브렌타노로부터 답이 없자, 형제는 독자적으로 동화집을 만들기로 결정하고 미리 보관해 둔 사본을 바탕으로 『그림 동화집』 편찬 작업을 진행했다.[25] 브렌타노의 기획은 결국 무산되었고, 그가 그림 형제로부터 받은 원고는 분실되었으나, 19세기 말 알자스의 에렌베르크 수도원에서 발견되었다. 이 '에렌베르크 원고'는 그림 형제가 간행본에서 내용을 가필하고 수정한 부분과 원형을 비교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26][27]

4. 영향

그림 동화는 출간 이후 문화의 여러 영역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다. 시인 W. H. 오든제2차 세계 대전 중 그림 동화집을 서구 문화의 중요한 기초 작품 중 하나로 평가하며 그 가치를 강조했다.[102][9]

《그림 동화집》은 여러 예술가와 작곡가에게 영감의 원천이 되었다. 아서 래컴, 월터 크레인, 리 크라머와 같은 삽화가들이 그림 동화를 주제로 작품을 남겼다. 또한, 1825년에는 그림 형제가 어린이 독자를 위해 50편의 이야기를 선별하고 동생 루드비히 에밀 그림이 삽화를 그린 《소판본》(Kleine Ausgabe)을 출판했는데, 이 판본은 1858년까지 10판이나 발행될 정도로 인기를 끌었다. D.L. 애쉴리먼은 1820년대부터 1920년대 사이에 출판된 그림 동화 영어 번역본 50~100여 종의 하이퍼링크 목록을 온라인에 디지털화하여 제공하기도 했다.[13]

그림 동화의 문화적 가치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Kinder- und Hausmärchen)》 원본은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 등재되었다.[5]

또한 그림 동화는 현대에 이르러 관광 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1975년, 그림 형제의 고향인 하나우에서 브레멘 음악대의 무대인 브레멘까지 이어지는 600km 길이의 독일 메르헨 가도가 독일 관광 가도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이 길은 그림 형제와 관련된 장소나 동화의 배경이 된 지역 70여 곳을 연결하며 많은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72]

4. 1. 세계 각국의 민담 수집 촉진

그림 형제는 가장 자연스럽고 순수한 형태의 문화는 언어에 기반하며 역사적 뿌리를 갖는다고 믿었다.[5] 이러한 신념은 그들의 민담 수집 작업에 깊이 반영되었으며, 이는 다른 여러 나라의 수집가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 그림 동화의 성공은 낭만적 민족주의 정신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었고, 각 나라의 고유한 동화가 그 민족 문화를 대표한다는 인식을 확산시켰다.[6]

이러한 영향 아래 여러 나라에서 자국의 민담을 수집하고 출판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일어났다. 대표적인 사례로는 러시아의 알렉산데르 아파나시예프, 노르웨이의 페테르 크리스텐 아스뵤른젠과 요르겐 모에, 영국의 조세프 제이콥 등이 자국의 민담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발표한 것을 들 수 있다.[104][7] 또한, 아일랜드의 이야기를 수집한 미국인 제레마이아 커틴 역시 그림 형제의 작업에서 영향을 받은 인물 중 하나이다.[7] 이들의 민담 수집 활동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발전했는데, 영국의 조세프 제이콥스는 이러한 흐름을 "페로가 시작했고 그림 형제가 완성시켰다"고 평가하며 그림 형제의 선구적인 역할을 강조했다.[105][8] 제이콥스는 특히 영국 어린이들이 자국의 동화를 접하지 못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며 민담 수집에 더욱 힘썼다고 전해진다.[8]

그림 형제의 업적은 단순히 민담 모음집 출판에 그치지 않고, 메르헨(Märchen, 동화)에 대한 체계적인 수집과 연구를 통해 '메르헨학'이라는 학문 분야를 정립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들의 연구는 유럽을 넘어 아메리카 대륙과 동양의 민담까지 포괄하는 광범위한 것이었다.[67] 이러한 학문적 성과는 이후 여러 나라의 민화 수집과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영국에서는 1879년, 그림 형제와 월터 스콧에게 영감을 받은 학자들이 영국 민속학회를 설립했으며, 이 학회의 회원이던 조세프 제이콥은 1890년 《영국 민화집》을 간행했다. 러시아에서는 19세기 중반부터 그림 형제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고, 알렉산드르 아파나시예프는 그림 형제를 모델 삼아 방대한 《러시아 민화집》(1855년-1864년)을 편찬했다. 이후 블라디미르 프로프는 그림 형제의 연구를 바탕으로 메르헨학을 심화시켰으며, 그의 대표 저서 《옛날이야기의 형태학》(1928년)은 프랑스 구조주의 사상에 영향을 준 선구적인 저작으로 평가받는다. 이 외에도 프랑스의 P. 드라뤼가 《프랑스 민화집》(1957년)을, 이탈리아이탈로 칼비노가 《이탈리아 민화집》(1956년)을 출간하는 등, 그림 형제가 시작한 민담 연구의 흐름은 유럽 전역으로 확산되며 각국의 문화적 자산을 발굴하고 보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67]

4. 2. 나치의 프로파간다 활용

나치는 그림 형제의 이야기를 자신들의 선전 도구로 활용했다. 나치는 그림 동화가 순수한 혈통 간의 결혼과 적들에 대항하는 굳건한 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한다고 주장하며 자신들의 이념을 정당화하려 했다.[103]

독일의 민간 전승을 바탕으로 한 그림 동화는 때때로 민족주의적 사상과 연결되기도 한다. 특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에서는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 삭제되었던 그림 동화의 잔혹한 묘사를 다시 되살려, 투쟁을 미화하고 권력을 찬양하며 인종 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했다는 지적이 있다.[68] 예를 들어 「빨간 모자」 이야기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재해석되어 정치적 선전에 이용되기도 했다.[69]

전쟁이 끝난 후에는 그림 동화의 잔혹성이 수용소와 같은 비극을 낳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극단적인 주장까지 제기되었다. 이러한 우려 때문에 1948년 8월에는 영국 점령군이 서독 내에서 『그림 동화집』의 출판을 일시적으로 금지하기도 했다.[70]

5. 한국에의 수용과 영향

(내용 없음)

5. 1. 일제강점기 소개

일제강점기에 해당하는 다이쇼 시대(1912년~1926년)에 들어서면서, 일본 내 그림 동화 수용은 이전 메이지 시대의 교훈적, 국민 교육적 성격에서 점차 벗어나기 시작했다. 1919년(다이쇼 7년) 창간된 아동문학 잡지 『붉은 새』에서는 스즈키 미에키치가 그림 동화를 소재로 한 동화를 여러 편 발표했다. 또한, 나카지마 코토가 번역하고 오카모토 키이치가 삽화를 그린 『그림 옛날 이야기』(1916년)와 『속 그림 옛날 이야기』(1924년)는 오카모토 키이치의 삽화 덕분에 큰 인기를 끌었지만, 원문의 내용에 충실하면서도 일부 수정이 가해진 번역이었다. 원문에 충실한 최초의 완역본은 1925년(다이쇼 13년) 가네다 키이치에 의해 출간되었다.[88][89]

이후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일본 정부의 출판 통제로 인해 그림 동화의 번역과 출판이 잠시 주춤했다.[90]

5. 2. 다양한 번안 및 각색

일본에서의 그림 동화 수용에 관한 연구는 1977년 독일 마르부르크 대학교에 제출된 노구치 요시코의 박사 논문이 최초이다[73]. 독일어로 쓰인 이 논문의 내용은 일부 요약되어 책으로 출판되었다[74]. 『그림 동화집』이 처음 일본에 도입된 것은 학교에서 사용하는 영어 교과서를 통해서였으며[75], 그림 동화 「못」(KHM184)이 마쓰야마 토안의 번역으로 소개되었다[76][77]. 이 이야기는 두 명의 일본인에 의해 번역되었다[78].

『그림 동화집』이 처음 잡지에 소개된 것은 『RŌMAJI ZASSI』이다. 그림 동화 「목동」(KHM152)과 「짚과 숯과 잠두」(KHM18)가 1886년에 로마자로 번역되었다[79]. 『그림 동화집』이 처음 책으로 출판된 것은 1887년(메이지 20년) 기리난 코지(스게 료호)가 쓴 『서양 고사 신선 총화』이다. 목차에는 10편만 기재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11편이 수록되어 있으며, 「황금의 새」, 「충신 요하네스」, 「춤추어 닳아 없어진 신발」, 「열두 형제」, 「벌의 여왕」, 「신데렐라」, 「황금 털 세 가닥을 가진 악마」 등이 포함되었다. 책 표지에 'Fairy Tales'라고 쓰여 있어 영어판을 원본으로 삼은 것으로 보이나, 원본의 이름이나 그림 형제의 이름은 적혀 있지 않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원본이 된 영어판은 폴 판일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80]. 같은 해 9월에는 통계학자이기도 했던 고분총이 「서양 옛날 이야기 제1호」로 「늑대와 일곱 마리 아기 염소」를 『여덟 마리의 염소』라는 제목의 컬러 그림책으로 출판했는데, 여기서는 어째서인지 아기 염소의 수가 8마리로 바뀌었다[81]. 같은 해 9월에는 나카가와 카조가 「늑대와 일곱 마리의 양」을 잡지 『소년 국민』에 번역하여 게재했다.

1889년(메이지 22년) 10월에는 국어학자 우에다 만넨이 같은 이야기의 번안작인 『오오카미』를 간행했으며[82], 1895년(메이지 28년)에는 이와야 사자나미가 같은 이야기를 「고양이의 원수」라는 제목으로 고양이 이야기로 바꾼 번안작을 발표했다[83]. 메이지 시대에는 주로 어린이를 위한 교훈적인 이야기를 만들려는 의도로, 『소년 국민』, 『유년 잡지』, 『소년 세계』 등 당시 잇따라 창간된 아동 잡지에서 그림 동화가 많이 소개되었다. 그 수는 잡지와 단행본을 합쳐 147권에 달한다[84]. 이처럼 메이지 시대에 그림 동화 소개가 활발했던 배경에는 당시 일본에서도 영향력이 있던 헤르바르트 학파의 동화 교육론이 받아들여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85][86]. 또한 메이지 시대에 일본식으로 고쳐 쓰인 그림 동화 번안은 그 후 구전되어 일본의 옛날이야기처럼 전해진 사례도 있다[87]. 『저승사자(죽음의 대부)』처럼 번안되어 라쿠고에 도입된 예도 있다.

1919년(다이쇼 7년) 창간된 『붉은 새』에서는 스즈키 미에키치가 그림 동화를 소재로 한 동화를 여러 편 썼다. 한편, 다이쇼 시대에는 동화 연구가 진전되면서 국민 교육적인 수용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나카지마 코토가 번역한 『그림 옛날 이야기』(1916년), 『속 그림 옛날 이야기』(1924년)는 오카모토 키이치의 삽화가 호평을 받아 인기를 얻었지만, 원문의 내용에 따르면서도 일부 수정이 이루어졌다. 원문에 충실한 번역이 등장한 것은 1925년(다이쇼 13년) 가네다 키이치에 의한 전역본(현재 이와나미 문고에 수록)이 나올 때까지 기다려야 했다[88][89]. 제2차 세계 대전 시기에는 정부의 출판 통제로 인해 그림 동화 번역이 잠시 주춤했지만, 전쟁 후 다시 주목받아 이후 원문에 충실한 번역과 교육적 배려를 위해 내용을 변경한 번역이라는 두 가지 흐름으로 꾸준히 번역과 재화가 출판되고 있다[90]. 1980년대 이후에는 제7판 번역뿐만 아니라 오자와 토시오에 의한 에렌베르크 고문서 번역(1989년)[91], 제2판 전역(1995년)[92], 요시하라 타카시·요시하라 소코 부부에 의한 초판 전역(1997년)[93] 등도 출판되었다. 또한 일본에서는 1990년대 중반부터 그림 동화의 '잔혹성'에 초점을 맞춘 해설서나 선집 등이 잇따라 출판되었고, 키류 미사오의 『사실은 무서운 그림 동화』(1998년) 등이 베스트셀러를 기록하는 붐이 일기도 했다[94].

5. 3. 해방 이후의 수용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일본에서는 정부의 출판 통제로 인해 그림 동화 번역이 잠시 주춤했으나, 전쟁 이후 다시 주목받기 시작했다. 이후 일본에서는 원문에 충실한 번역과 교육적인 배려를 이유로 내용을 변경한 번역이라는 두 가지 경향으로 꾸준히 번역 및 재화(再話)가 출판되고 있다.[90]

1980년대 이후에는 널리 알려진 제7판 번역뿐만 아니라, 오자와 토시오에 의한 에렌베르크 필사본 번역(1989년)[91], 제2판 전역(1995년)[92], 요시하라 타카시·요시하라 소코 부부에 의한 초판 전역(1997년)[93] 등 다양한 판본의 번역이 출판되었다. 또한, 1990년대 중반부터는 그림 동화의 '잔혹성'에 초점을 맞춘 해설서나 선집 등이 잇따라 출판되었으며, 키류 미사오의 『사실은 무서운 그림 동화』(1998년) 등이 베스트셀러를 기록하며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94]

6. 주요 동화 목록

그림 형제


《어린이와 가정의 동화집》(Kinder- und Hausmärchende)에 수록된 이야기들은 출판 당시 부여된 고유 번호인 KHM 번호로 식별된다. KHM은 독일어 원제의 약자이다. 1812년 초판부터 1857년 제7판까지 모든 판본은 이야기를 두 권으로 나누어 출판했다. 다음은 그림 동화집에 실린 대표적인 이야기들이다. 번호는 제7판 기준의 KHM 번호이다.

전체 동화 목록은 그림 동화 목록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6. 1. 1권

1840년 4판 1권의 속표지


원제인 Kinder- und Hausmärchende 기준의 코드 "KHM"을 따라서 나열한다. 1812년부터 1857년까지의 모든 판본은 두 권으로 나뉘어 있으며, 다음은 1권에 해당하는 목록이다.

  • KHM 1: 개구리 왕, 혹은 철의 하인리히 (Der Froschkönig oder der eiserne Heinrichde)
  • KHM 2: 고양이와 쥐의 공동 생활 (Katze und Maus in Gesellschaftde)
  • KHM 3: 성모 마리아의 아이 (Marienkindde)
  • KHM 4: 소름을 배우러 떠난 사나이 (Märchen von einem, der auszog das Fürchten zu lernende)
  • KHM 5: 늑대와 일곱 마리 새끼 염소 (Der Wolf und die sieben jungen Geißleinde)
  • KHM 6: 충신 요하네스, 또는 충직한 요하네스 (Der treue Johannesde)
  • KHM 7: 괜찮은 거래 (Der gute Handelde)
  • KHM 8: 떠돌이 악사, 또는 놀라운 악사 (Der wunderliche Spielmannde)
  • KHM 9: 까마귀가 된 형제 (Die zwölf Brüderde)
  • KHM 10: 불량배들 (Das Lumpengesindelde)
  • KHM 11: 오누이 (Brüderchen und Schwesterchende)
  • KHM 12: 라푼젤 (Rapunzelde)
  • KHM 13: 숲 속의 세 난쟁이 (Die drei Männlein im Waldede)
  • KHM 14: 실 잣는 세 여인 (Die drei Spinnerinnende)
  • KHM 15: 헨젤과 그레텔 (Hänsel und Gretelde)
  • KHM 16: 뱀이 가져온 잎사귀 (Die drei Schlangenblätterde)
  • KHM 17: 하얀 뱀 (Die weiße Schlangede)
  • KHM 18: 짚과 숯과 잠두콩 (Strohhalm, Kohle und Bohnede)
  • KHM 19: 어부와 그의 아내 이야기 (Von dem Fischer und seiner Fraude)
  • KHM 20: 용감한 꼬마 재봉사 (Das tapfere Schneiderleinde)
  • KHM 21: 신데렐라 (Aschenputtelde)
  • KHM 22: 수수께끼 (Das Rätselde)
  • KHM 23: 쥐와 새와 소시지 (Von dem Mäuschen, Vögelchen und der Bratwurstde)
  • KHM 24: 홀레 아주머니 (Frau Hollede)
  • KHM 25: 일곱 마리 까마귀 (Die sieben Rabende)
  • KHM 26: 빨간 모자 (Rotkäppchende)
  • KHM 27: 브레멘 음악대 (Die Bremer Stadtmusikantende)
  • KHM 28: 노래하는 뼈 (Der singende Knochende)
  • KHM 29: 악마의 황금 머리카락 세 올 (Der Teufel mit den drei goldenen Haarende)
  • KHM 30: 이와 벼룩 (Läuschen und Flöhchende)
  • KHM 31: 손 없는 왕비 (Das Mädchen ohne Händede)
  • KHM 32: 어리석은 한스 (Der gescheite Hansde)
  • KHM 33: 세 가지 말 (Die drei Sprachende)
  • KHM 34: 지혜로운 엘제 (Die kluge Elsede)
  • KHM 35: 천국의 재단사 (Der Schneider im Himmelde)
  • KHM 36: 요술 식탁, 황금 당나귀, 자루 속의 몽둥이 ("Tischchen deck dich, Goldesel und Knüppel aus dem Sack"de, "Tischlein, deck dich!"de)
  • KHM 37: 엄지둥이 (Daumlingde) (엄지 톰)
  • KHM 38: 여우 마나님의 결혼식 (Die Hochzeit der Frau Füchsinde)
  • KHM 39: 꼬마 요정 (Die Wichtelmännerde)
  • * 첫 번째 이야기 (꼬마 요정과 구두장이) (Erstes Märchende)
  • * 두 번째 이야기 (Zweites Märchende)
  • * 세 번째 이야기 (Drittes Märchende)
  • KHM 40: 강도 사위 (Der Räuberbräutigamde)
  • KHM 41: 코르베스 씨 (Herr Korbesde)
  • KHM 42: 대부님 (Der Herr Gevatterde)
  • KHM 43: 트루데 아주머니 (Frau Trudede)
  • KHM 44: 대부가 된 죽음의 신 (Der Gevatter Todde)
  • KHM 45: 엄지둥이의 여행 (Daumerlings Wanderschaftde) (엄지 톰)
  • KHM 46: 피처의 새 (Fitchers Vogelde)
  • KHM 47: 향나무 이야기 (Von dem Machandelboomde)
  • KHM 48: 늙은 개 술탄 (Der alte Sultande)
  • KHM 49: 여섯 마리 백조 (Die sechs Schwänede)
  • KHM 50: 들장미 공주 (Dornröschende)
  • KHM 51: 주운 새 (Fundevogelde)
  • KHM 52: 지빠귀 수염의 왕 (König Drosselbartde)
  • KHM 53: 백설공주 (Schneewittchende)
  • KHM 54: 배낭, 모자, 그리고 뿔피리 (Der Ranzen, das Hütlein und das Hörnleinde)
  • KHM 55: 룸펠슈틸츠킨 (Rumpelstilzchende)
  • KHM 56: 애인 롤란트 (Der Liebste Rolandde)
  • KHM 57: 황금새 (Der goldene Vogelde)
  • KHM 58: 개와 참새 (Der Hund und der Sperlingde)
  • KHM 59: 프리더와 카터리스헨 (Der Frieder und das Katherlieschende)
  • KHM 60: 쌍둥이 형제 (Die zwei Brüderde)
  • KHM 61: 작은 농부 (Das Bürlede)
  • KHM 62: 여왕벌 (Die Bienenköniginde)
  • KHM 63: 세 개의 깃털 (Die drei Federnde)
  • KHM 64: 황금 거위 (Die goldene Gansde)
  • KHM 65: 털북숭이 공주 (Allerleirauhde)
  • KHM 66: 토끼의 신부 (Häschenbrautde)
  • KHM 67: 열두 명의 사냥꾼 (Die zwölf Jägerde)
  • KHM 68: 도둑과 그 두목 (De Gaudeif un sien Meesterde)
  • KHM 69: 요린데와 요링겔 (Jorinde und Joringelde)
  • KHM 70: The Three Sons of Fortune영어 (Die drei Glückskinderde)
  • KHM 71: 여섯 사나이, 세상을 활보하다 (Sechse kommen durch die ganze Weltde)
  • KHM 72: 늑대와 사람 (Der Wolf und der Menschde)
  • KHM 73: 늑대와 여우 (Der Wolf und der Fuchsde)
  • KHM 74: 대부가 된 여우 (Der Fuchs und die Frau Gevatterinde)
  • KHM 75: 여우와 고양이 (Der Fuchs und die Katzede)
  • KHM 76: 패랭이꽃 (Die Nelkede)
  • KHM 77: 현명한 그레텔 (Die kluge Gretelde)
  • KHM 78: 할아버지와 손자 (Der alte Großvater und der Enkelde)
  • KHM 79: 물의 요정 (Die Wassernixede)
  • KHM 80: 암탉이 죽은 이야기 (Von dem Tode des Hühnchensde)
  • KHM 81: 속 편한 사나이 (Bruder Lustigde)
  • KHM 82: 노름꾼 한스 (De Spielhanslde)
  • KHM 83: 행운아 한스 (Hans im Glückde)
  • KHM 84: 한스, 결혼하다 (Hans heiratetde)
  • KHM 85: 황금 아이들 (Die Goldkinderde)
  • KHM 86: 여우와 거위 (Der Fuchs und die Gänsede)

6. 2. 2권

1840년 그림 동화 4판 2권의 속표지. 루드비히 에밀 그림이 그린 삽화로, 이야기꾼 도로테아 비에만을 모델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제인 ''Kinder- und Hausmärchen'' 기준의 코드 "KHM"을 따라서 나열하며, KHM 87부터 2권에 해당한다.

  • 가난뱅이와 부자 (Der Arme und der Reichede): KHM 87
  • 노래하는 종달새 (Das singende springende Löweneckerchende): KHM 88
  • 거위치는 소녀 (Die Gänsemagdde): KHM 89
  • 어린 거인 (Der junge Riesede): KHM 90
  • 땅속 난쟁이 (Dat Erdmännekende): KHM 91
  • 황금산의 임금님 (Der König vom goldenen Bergde): KHM 92
  • 큰 까마귀 (Die Rabende): KHM 93
  • 영리한 농부의 딸 (Die kluge Bauerntochterde): KHM 94
  • 농부 힐데브란트 (Der alte Hildebrandde): KHM 95
  • 작은 새의 노래 (De drei Vügelkensde): KHM 96
  • 생명의 물 (Das Wasser des Lebensde): KHM 97
  • 만물박사 (Doktor Allwissendde): KHM 98
  • 유리병 속의 유령 (Der Geist im Glasde): KHM 99
  • 악마의 검댕 투성이 형제 (Des Teufels rußiger Bruderde): KHM 100
  • 곰가죽을 입은 사나이 (Bärenhäuterde): KHM 101
  • 굴뚝새와 곰 (Der Zaunkönig und der Bärde): KHM 102
  • 맛있는 죽 (Der süße Breide): KHM 103
  • 영리한 사람들 (Die klugen Leutede): KHM 104
  • 뱀 이야기 (Märchen von der Unkede): KHM 105
  • 방앗간의 젊은 직공과 고양이 (Der arme Müllersbursch und das Kätzchende): KHM 106
  • 양복장이와 구두장이 (Die beiden Wandererde): KHM 107
  • 고슴도치 한스 (Hans mein Igelde): KHM 108
  • 수의 (Das Totenhemdchende): KHM 109
  • 가시덤불 속의 유대인 (Der Jude im Dornde): KHM 110
  • 솜씨 좋은 사냥꾼 (Der gelernte Jägerde): KHM 111
  • 하늘 나라에서 가져온 도리깨 (Der Dreschflegel vom Himmelde): KHM 112
  • 왕자를 도운 공주 (Die beiden Königskinderde): KHM 113
  • 영리한 꼬마 재단사 이야기 (vom klugen Schneiderleinde): KHM 114
  • 빛나는 태양이 사실을 밝혀주다 (Die klare Sonne bringt's an den Tagde): KHM 115
  • 푸른 등잔 (Das blaue Lichtde): KHM 116
  • 고집 센 아이 (Das eigensinnige Kindde): KHM 117
  • 세 명의 외과 의사 (Die drei Feldschererde): KHM 118
  • 일곱 명의 슈바벤 사람 (Die sieben Schwabende): KHM 119
  • 세 직공 (Die drei Handwerksburschende): KHM 120
  • 겁 없는 왕자 (Der Königssohn, der sich vor nichts fürchtetede): KHM 121
  • 당나귀 상추 (Der Krauteselde): KHM 122
  • 숲 속의 노파 (Die alte im Waldde): KHM 123
  • 삼형제 (Die drei Brüderde): KHM 124
  • 악마와 그의 할머니 (Der Teufel und seine Großmutterde): KHM 125
  • 성실한 페레난트와 불성실한 페레난트 (Ferenand getrü und Ferenand ungetrüde): KHM 126
  • 무쇠 난로 (Der Eisenofende): KHM 127
  • 게으른 실 잣는 여자 (Die faule Spinnerinde): KHM 128
  • 명인 사형제 (Die vier kunstreichen Brüderde): KHM 129
  • 외눈박이, 두눈박이, 세눈박이 (Einäuglein, Zweiäuglein und Dreiäugleinde): KHM 130
  • 카트리넬예와 핍 팝 포트리 (Die schöne Katrinelje und Pif Paf Poltriede): KHM 131
  • 여우와 말 (Der Fuchs und das Pferdde): KHM 132
  • 춤을 추어 넝마가 된 신발 (Die zertanzten Schuhede): KHM 133
  • 여섯 명의 부하 (Die sechs Dienerde): KHM 134
  • 하얀 신부와 까만 신부 (Die weiße und die schwarze Brautde): KHM 135
  • 무쇠 한스 (Eisenhansde): KHM 136
  • 세 명의 검은 공주 (De drei schwatten Prinzessinnende): KHM 137
  • 크노이스트와 세 아들 (Knoist un sine dre Sühnede): KHM 138
  • 브라켈의 아가씨 (Dat Mäken von Brakelde): KHM 139
  • 우리집 고용인 (Das Hausgesindede): KHM 140
  • 양과 물고기 (Das Lämmchen und das Fischchende): KHM 141
  • 지멜리 산 (Simelibergde): KHM 142
  • 여행 (Up Reisen gohnde): KHM 143 (1819년 판에 등장)
  • * 1812/1815년 판 KHM 143은 굶주린 아이들 (Die Kinder in Hungersnotde)이었다.
  • 당나귀 왕자 (Das Eseleinde): KHM 144[15]
  • 불효한 아들 (Der undankbare Sohnde): KHM 145
  • 순무 (Die Rübede): KHM 146
  • 불에 타서 젊어진 남자 (Das junggeglühte Männleinde): KHM 147
  • 하나님의 동물과 악마의 동물 (Des Herrn und des Teufels Getierde): KHM 148
  • 수탉의 대들보 (Der Hahnenbalkende): KHM 149
  • 구걸하는 노파 (Die alte Bettelfraude): KHM 150
  • 게으른 세 아들 (Die drei Faulende): KHM 151
  • 게으른 열두 하인 (Die zwölf faulen Knechtede): KHM 151a
  • 양치기 사내아이 (Das Hirtenbübleinde): KHM 152
  • 동전이 된 별 (Die Sterntalerde): KHM 153
  • 숨겨놓은 동전 (Der gestohlene Hellerde): KHM 154
  • 신부 고르기 (Die Brautschaude): KHM 155
  • 부지런한 하녀 (Die Schlickerlingede): KHM 156
  • 아빠 참새와 네 마리 새끼 참새 (Der Sperling und seine vier Kinderde): KHM 157
  • 게으른 사람의 나라 이야기 (Das Märchen vom Schlaraffenlandde): KHM 158
  • 디트마르셴의 허풍 (Das dietmarsische Lügenmärchende): KHM 159
  • 수수께끼 (Rätselmärchende): KHM 160
  • 흰눈이와 빨간 장미 (Schneeweißchen und Rosenrotde): KHM 161
  • 영리한 하인 (Der kluge Knechtde): KHM 162
  • 유리 널 (Der gläserne Sargde): KHM 163
  • 게으른 하인츠 (Der faule Heinzde): KHM 164
  • 그라이프 새 (Der Vogel Greifde): KHM 165
  • 씩씩한 한스 (Der starke Hansde): KHM 166
  • 천국에 간 가난한 농부 (Das Bürli im Himmelde): KHM 167
  • 말라깽이 리제 (Die hagere Liesede): KHM 168
  • 숲 속의 집 (Das Waldhausde): KHM 169
  • 기쁨도 함께, 슬픔도 함께 (Lieb und Leid teilende): KHM 170
  • 새들의 왕 (Der Zaunkönigde): KHM 171
  • 가자미 (Die Schollede): KHM 172
  • 해오라기와 후투티 (Rohrdommel und Wiedehopfde): KHM 173
  • 부엉이 (Die Eulede): KHM 174
  • 달 (Der Mondde): KHM 175
  • 수명 (Die Lebenszeitde): KHM 176
  • 죽음의 예고 (Die Boten des Todesde): KHM 177
  • 구둣방 주인 프리엠 (Meister Pfriemde): KHM 178
  • 거위지기 소녀 (Die Gänsehirtin am Brunnende): KHM 179
  • 이브의 아이들 (Die ungleichen Kinder Evasde): KHM 180
  • 연못 속의 요정 (Die Nixe im Teichde): KHM 181
  • 난쟁이의 선물 (Die Geschenke des kleinen Volkesde): KHM 182
  • 거인과 양복장이 (Der Riese und der Schneiderde): KHM 183
  • 못 (Der Nagelde): KHM 184
  • 무덤에 누운 소년 (Der arme Junge im Grabde): KHM 185
  • 진짜 신부 (Die wahre Brautde): KHM 186
  • 토끼와 고슴도치 (Der Hase und der Igelde): KHM 187
  • 물레와 북과 바늘 (Spindel, Weberschiffchen und Nadelde): KHM 188
  • 농부와 악마 (Der Bauer und der Teufelde): KHM 189
  • 식탁 위의 빵 부스러기 (Die Brosamen auf dem Tischde): KHM 190
  • 12개의 요술 창문 (Das Meerhäschende): KHM 191
  • 거물 도둑 (Der Meisterdiebde): KHM 192
  • 북치는 사람 (Der Trommlerde): KHM 193
  • 보리 이삭 (Die Kornährede): KHM 194
  • 무덤을 지키기로 한 약속 (Der Grabhügelde): KHM 195
  • 링크랭크 할아버지 (Oll Rinkrankde): KHM 196
  • 수정공 (Die Kristallkugelde): KHM 197
  • 맬린 공주 (Jungfrau Maleende): KHM 198
  • 물소 가죽 장화 (Der Stiefel von Büffellederde): KHM 199
  • 황금 열쇠 (Der goldene Schlüsselde): KHM 200


'''어린이가 읽는 성자 이야기''' (Kinder-legendede)

1819년 G. 라이머 판 2권 끝 부분에 처음 수록되었다.

  • 숲 속의 성 요셉 (Der heilige Joseph im Waldede): KHM 201
  • 12 사도 (Die zwölf Apostelde): KHM 202
  • 장미 (Die Rosede): KHM 203
  • 가난과 겸손은 하늘 나라로 가는 길 (Armut und Demut führen zum Himmelde): KHM 204
  • 하느님의 음식 (Gottes Speisede): KHM 205
  • 세 개의 초록빛 나뭇가지 (Die drei grünen Zweigede): KHM 206
  • 성 처녀의 작은 잔 (Muttergottesgläschende): KHM 207
  • 할머니 (Das alte Mütterchende): KHM 208
  • 하늘 나라의 결혼 잔치 (Die himmlische Hochzeitde): KHM 209
  • 개암나무 (Die Haselrutede): KHM 210

7. 참고 문헌


  • 야코프 그림; 빌헬름 그림. (1884). 헌트, 마가렛 (번역). 《[https://books.google.com/books?id=kLwxAQAAMAAJ 그림 동화집: 작가의 노트와 함께]》 1권. 런던: 조지 벨 앤 선스. ; [https://books.google.com/books?id=xLwxAQAAMAAJ 2권]; [https://archive.org/details/grimmshouseholdt01grim 1권], [https://archive.org/details/grimmshouseholdt2grim 2권] (인터넷 아카이브).
  • 야코프 그림; 빌헬름 그림. (2015) [1982]. 루크, 데이비드; 맥케이, 길버트; 스콜필드, 필립 (번역). 《[https://books.google.com/books?id=rZIkCQAAQBAJ 그림 형제: 선별된 이야기]》. 런던: 펭귄. ISBN 0241245052.
  • 야코프 그림; 빌헬름 그림. (1903). 터핀, 에드나 헨리 리 (번역). 《[https://books.google.com/books?id=5KEAAAAAYAAJ 그림 동화]》. 뉴욕: 메이너드, 메릴, & Co. ISBN 9781438158952.
  • 야코프 그림; 빌헬름 그림. (2003). 자이프스, 잭 (편집). 《[https://books.google.com/books?id=dec1b-q_of8C 그림 형제의 완역 동화집: 새로운 제3판]》. 랜덤 하우스 출판 그룹. ISBN 0553897403.
  • 야코프 그림; 빌헬름 그림. (2016) [2014]. 자이프스, 잭 (편집). 《[https://books.google.com/books?id=C3CYDwAAQBAJ 그림 형제의 원본 민담과 동화: 완역 초판]》.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ISBN 0691173222. OCLC 879662315.
  • 우터, 한스-요르크. (2004). 《[https://books.google.com/books?id=DpGAAAAAMAAJ&q=%22D721.3%22 국제 민담 유형: 동물 이야기, 마법 이야기, 종교 이야기 및 사실적인 이야기, 서문 포함]》. FF 커뮤니케이션. 263쪽.
  • 애쉴리먼, D.L. (1998–2020). 《[https://www.pitt.edu/~dash/grimmtales.html 그림 형제 아동 및 가정 동화 (그림 동화)]》. 피츠버그 대학교.

참조

[1] 서적 The Brothers Grimm : from enchanted forests to the modern world Palgrave Macmillan 2002
[2] 서적 The Hard Facts of the Grimms' Fairy Tales
[3] 웹사이트 Grimm brothers' fairytales have blood and horror restored in new translation http://www.theguardi[...] 2014-11-12
[4]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5] 간행물 How the Grimm Brothers Saved the Fairy Tale https://www.neh.gov/[...] Humanities 2015-03/04
[6] 잡지 Once Upon a Time https://www.newyorke[...] 2012-07-16
[7] 서적 The Great Fairy Tale Tradition: From Straparola and Basile to the Brothers Grimm
[8]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9]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10]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11] 서적 Cruel World: The Children of Europe in the Nazi Web
[12]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13] 웹사이트 Grimms' Fairy Tales in English: An Internet Bibliography https://sites.pitt.e[...] 2012-2017
[14] 서적 The Hard Facts of the Grimms' Fairy Ta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15] 기타 The Little Donkey https://www.pitt.edu[...] 1998-2020
[16] 기타 野口 (1994)
[17] 웹사이트 Brüder Grimm-Gesellschaft Kassel e.V. のホームページ http://www.grimms.de[...] 2018-12
[18] 기타 Ingeborg Weber-Kellermann(1974)
[19] 기타 野口 (1994)
[20] 서적 はじめて学ぶドイツ文学史 ミネルヴァ書房 2003
[21] 기타 野口 (1994)
[22] 기타 ハインツ・レレケ
[23] 기타 鈴木 (1991)
[24] 기타 レレケ (1990)
[25] 기타 レレケ (1990)
[26] 기타 Rölleke(1975)
[27] 기타 小澤(1889)
[28] 기타 レレケ (1990)
[29] 기타 レレケ (1990)
[30] 기타 レレケ (1990)
[31] 기타 野口(1994)
[32] 기타 レレケ (1990)
[33] 기타 タタール (1990)
[34] 기타 レレケ (1990)
[35] 기타 鈴木 (1991)
[36] 서적 鈴木 (1991)
[37] 서적 野口(2016)
[37] 서적 Weber-Kellerman(1970)
[38] 서적 ハインツ・レレケ
[39] 서적 野口(1994)
[40] 서적 野口(2016)
[41] 서적 タタール (1990)
[42] 서적 野口(2016)
[43] 서적 野口(1994)
[44] 서적 野口(2016)
[45] 서적 タタール (1990)
[46] 서적 野村 (1989)
[47] 서적 鈴木 (1991)
[48] 서적 野村 (1989)
[49] 서적 鈴木 (1991)
[50] 서적 ボティックハイマー (1990)
[51] 서적 野口(2016)
[52] 서적 鈴木 (1991)
[53] 서적 Johannes Bolte(1923/24)
[54] 서적 野口(1994)
[55] 서적 Panzer(1953)
[56] 서적 野口(1994)
[57] 서적 吉原
[58] 서적 小澤 (1992)
[59] 서적 レレケ (1990)
[60] 서적 鈴木 (1991)
[61] 서적 鈴木 (1991)
[62] 서적 野口(1994)
[63] 서적 Weber-Kellermann (1970)
[64] 정보
[65] 서적 レレケ (1990)
[66] 서적 レレケ (1990)
[67] 서적 高木(1999)
[68] 서적 石塚 (1995)
[69] 서적 石塚 (1995)
[70] 서적 野村 (1989)
[71] 서적 Die ZEIT-Bibliothek der 100 Bücher Suhrkamp 1980
[72] 문서 沖島博美/朝倉めぐみ(2012)
[73] 문서 Yoshiko Noguchi (1997)
[74] 문서 野口(1994)
[75] 문서 府川(2008)
[76] 문서 府川(2008)
[77] 문서 野口(1994)
[78] 문서 野口(2015)
[79] 문서 野口(2016)
[80] 문서 野口(2005)
[81] 문서 野口(1994)
[82] 문서 野口(1994)
[83] 문서 野口(1994)
[84] 문서 川戸道昭/野口芳子/榊原貴教(2000)
[85] 문서 野口(1994)
[86] 문서 中山(2009)
[87] 문서 大島(1994)
[88] 문서 野口(1977)
[89] 문서 須田 (1991)
[90] 문서 野口(1977)
[91] 문서 小澤(1989)
[92] 서적 完訳グリム童話 ぎょうせい 1995
[93] 서적 初版グリム童話集 白水社 1997
[94] 문서 山田 (2004)
[95] 서적 그림동화의 숨겨진 진실 예담 2006
[96] 간행물 그림 동화집-세계문학 글로벌 세계 대백과
[97] 서적 The Hard Facts of the Grimms' Fairy Tales
[98]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99] 문서
[100] 서적 The Hard Facts of the Grimms' Fairy Tale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7
[101] 서적 The Brothers Grimm and Folktale
[102]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103] 서적 The Annotated Brothers Grimm
[104] 서적 The Great Fairy Tale Tradition: From Straparola and Basile to the Brothers Grimm
[105] 서적 The Annotated Classic Fairy Tal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